사진/ abc 뉴스 캡쳐
미국 내 자동차 가격이 이르면 수주 내에 급등할 것으로 전망된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오는 4월 3일부터 수입 자동차 및 부품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을 다시 발표했기 때문이다.
이번 조치가 시행되면 미국에서 판매되는 수입차뿐 아니라 미국 내 공장에서 생산된 차량의 생산 비용이 차량 1대당 수천 달러씩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과거에도 같은 내용의 관세안을 두 차례 추진했으나 모두 보류 또는 연기된 바 있다.
자동차 시장 분석업체 Edmunds.com의 아이반 드루리 인사이트 디렉터는 “이번 조치는 많은 소비자에게 예상보다 빠른 시일 내 가격 충격을 안길 것”이라며, “딜러 매장에 도착하기도 전부터 생산비 상승분이 차량 가격에 반영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상승폭이 차량당 “수천 달러에서 그 이상”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제조사들이 관세 비용을 소비자에게 직접 전가하기보다는 저금리 차량 대출이나 캐시백 등 인센티브를 줄이는 방식으로 우회적 가격 인상을 단행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예컨대 1.9% 저금리 융자 혜택이 사라질 경우, 소비자 부담은 차량 1대당 6천~7천 달러까지 늘어날 수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번 관세 조치가 미국 내 제조업 활성화를 유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미국산 차량도 대부분 수입 부품에 의존하고 있어, 관세 영향을 피할 수 없다”고 지적한다. 미국 행정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미국 내 생산 차량의 국산 부품 비중은 평균 40~50%에 불과한 실정이다.
싱크탱크 앤더슨 이코노믹 그룹은 이번 관세가 차량당 생산비를 3,500달러에서 최대 1만 2천 달러까지 인상시킬 수 있다고 분석했다. S&P 글로벌 모빌리티의 자동차 이코노미스트 피터 네이글도 “관세 시행 후 1~2주 내로시장 가격이 변동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추가적인 가격 상승 요인도 존재한다. 자동차 제조사들이 관세의 지속 여부를 지켜보기 위해 생산을 일시적으로 줄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공급이 줄어들 경우, 자연스럽게 차량 가격은 오를 수밖에 없다. 이러한 현상은 2021년 반도체 부족 사태 당시 실제로 발생했으며, 당시 신차 가격은 17%, 중고차 가격은 32% 상승했다.
콕스 오토모티브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조너선 스모크는 “관세가 시행되면, 북미 차량 생산에 하루 2만 대 수준의 타격이 예상된다”며, “이는 전체 생산량의 약 30% 감소에 해당하는 수치”라고 경고했다. 그는 이어 “4월 3일은 멕시코·캐나다와의 공급망에 있어 사실상의 ‘심판의 날(doomsday)’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안미향 기자 [email protected]